(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6)
※ 경기파주·충남홍성·충북충주 등 3개도 6개 시·군 15농가
※ 경기안성·용인·평택, 충북진천 등 2개도 4개 시·군 16농가
※ 2000년과 다르게 돼지를 중심으로 질병 확산
※ 경기포천·연천 등 2시군
※ 김포, 충주, 청양 등 4개 시·군
※ 2010년 상반기에 발생한 구제역 바이러스는 A형으로 동남아시아에서 발생하는 형이며, 2000년과 2002년 국내에서 발생한 O형과는 다른 형태였다.
※ 경북, 경기, 강원, 충북, 충남 등 11개 시·도 75개 시·군·구
※ 2014년 12월 충북진천을 시작으로 경기, 충북, 충남, 경북, 세종 등 8개 시·도 37개 시·군으로 구제역 확산
※ 2014. 7월 경북의성·고령, 8월 초 경남 합천에서 구제역 의심축이 신고 되었으나 8월 발생 이후 더 이상 발생이 없어 9. 4일자 가축이동제한 해제
※ 2015. 4. 28 충남 홍성·천안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추가적인 발생이 없어 5. 22일 가축이동제한 전면 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