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것이 힘이다! 이달의 농업기술을 활용해보세요!

이달의 농업기술을 통해 최신 정보 습득에 따른 이슈 대응과 농업기술 향상이 가능합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구글플러스

과거 구제역 발생현황

전체목록

선택

구제역!백신접종과 차단방역으로 막을 수 있습니다.

7. 과거 구제역 발생현황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6)

2000년 구제역 발생 내용

  • 발생상황
    • 기간: 2000. 3. 21∼4. 15(22일간)
    • 건수: 15건(소)

    ※ 경기파주·충남홍성·충북충주 등 3개도 6개 시·군 15농가

  • 발생원인(추정): 수입건초, 해외여행객(신발, 휴대축산물)
  • 방역조치
    • 살처분 2,216마리(발생농장 반경 500m 이내 182개 농가의 우제류)
    • 반경 10km 내 예방접종(2차)
  • 국내종식
    • 예방접종 중단 후 1년, 청정국 회복 2001. 8. 31.
  • 직접 피해액: 3,006억 원
    • 살처분 보상금 71, 소독약, 예방접종 등 202, 생활안정자금 2.7, 가축수매지원 2,428(444천 마리), 경영안정자금 지원 등 302

2002년 구제역 발생 내용

  • 발생상황
    • 기간: 2002. 5. 2∼6. 23(52일간)
    • 건수: 16건(돼지 15건, 소 1건)

    ※ 경기안성·용인·평택, 충북진천 등 2개도 4개 시·군 16농가
    ※ 2000년과 다르게 돼지를 중심으로 질병 확산

  • 발생원인(추정): 외국인 근로자
  • 방역조치
    • 살처분 160,155마리(발생농장 반경 500m 내 우제류, 3km내 돼지)
    • 예방접종 배제
  • 국내종식
    • 이동제한 해제 후(8. 14), 청정국 회복 2002. 11. 29.
  • 직접 피해액: 1,434억 원
    • 살처분 보상금 531, 소독약 등 154, 생활안정자금 7.5, 가축수매지원 337(142천 마리), 경영안정자금 지원 등 404.5

2010년 상반기 구제역 발생 내용

  • 발생상황
    • 1차: 2010. 1. 2∼ 1. 29(28일간), 6건

      ※ 경기포천·연천 등 2시군

    • 2차: 2010. 4. 8∼ 5. 6(29일간), 11건(소 7, 돼지 4)

      ※ 김포, 충주, 청양 등 4개 시·군

  • 방역조치
    • 1차: 매몰·처분 5,956마리
    • 2차: 매몰·처분 49,874마리
  • 이동제한 해제 2010. 3. 23(1차)

※ 2010년 상반기에 발생한 구제역 바이러스는 A형으로 동남아시아에서 발생하는 형이며, 2000년과 2002년 국내에서 발생한 O형과는 다른 형태였다.

2010년 하반기 구제역 발생 내용

  • 발생상황
    • 기간: 2010. 11. 28∼2011. 5. 18(171일간)

      ※ 경북, 경기, 강원, 충북, 충남 등 11개 시·도 75개 시·군·구

  • 방역조치
    • 매몰·처분 3,479,866마리(돼지 332만 마리로 95%차지, 돼지 전체 사육 마리수의 30% 살처분), 예방접종
  • 국내종식
    • 예방접종 중단 후 1년
  • 직접 피해액: 3조 1,759억 원(추정치)
    • 매몰·처분 보상금 1조 8,240억 원, 소독약품·예방접종 등 1,200, 생활안정자금 232, 가축수매 3,772, 경영안정자금 지원 등 315, 환경부 4,466(상수도 4,203, 매몰지 환경관리 142, 매몰지 정비 121)

2014∼2015년 구제역 발생내역

  • 발생상황
    • 기간: 2014. 12. 4∼2015. 5. 22(170일간) 185건

      ※ 2014년 12월 충북진천을 시작으로 경기, 충북, 충남, 경북, 세종 등 8개 시·도 37개 시·군으로 구제역 확산

  • 방역조치
    • 매몰·처분 172,734마리(돼지 172,721, 소 6, 사슴 7)
  • 이동제한 해제 2015. 5. 22

    ※ 2014. 7월 경북의성·고령, 8월 초 경남 합천에서 구제역 의심축이 신고 되었으나 8월 발생 이후 더 이상 발생이 없어 9. 4일자 가축이동제한 해제
    ※ 2015. 4. 28 충남 홍성·천안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이후 추가적인 발생이 없어 5. 22일 가축이동제한 전면 해제

  • 2010∼2011년 구제역 발생과 2014∼2015년 비교
    • 구제역 발생 기간 면에서 비슷하지만 2010∼2011년에는 3,748건이 발생하였으나 2014∼2015년에는 185건에 불과, 이는 2010∼2011년 구제역 재발방지 및 청정화대책 추진 일환으로 자돈의 경우 3가 백신을 2개월 령에서 1차례 접종하고, 5∼6개월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접종하여 구제역 전파가 약화되었기 때문
    • 또한 살처분도 2010∼2011년에는 348만 마리이었으나 2014∼2015년에는 17만 마리 살처분 되었다. 이는 2010∼2011년 구제역 발생 당시에는 예방적 살처분으로 인근 농장까지 살처분한 데 반해, 이후 백신 접종 정책을 추진하면서 구제역이 걸린 개체만을 선별적으로 살처분하는 정책으로 전환하였기 때문이다.





OPEN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