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지속 가능성을 위한
탄소중립 노력
탄소중립 ②

글 ㅣ 편집부참고자료 ㅣ 농촌진흥청
농업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은 국가 총 배출량의 3%로 적은 편이지만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대한 노력이 필요한 때다.
농촌진흥청은 올해 농림축산식품부가 수립한 ‘2050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적극 뒷받침하기 위해
‘2050 탄소중립 실현 농업기술 개발과 현장보급 추진전략’을 마련했다.
지난 호에 이어 농업 지속 가능성을 위한 탄소중립 노력을 살펴본다.

온실가스 배출 통계
정확도 향상 추진

농식품 분야에서 온실가스 통계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농업생산 환경을 반영한 국가고유배출계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국가고유배출계수는 토양을 탄소저장고로 정의하고, 면적변화에 따른 변동량을 온실가스로 환산해 산정한다. 기존에는 토지이용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해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가 제시한 기본값을 이용했으나 우리나라 토양의 특성이 반영되지 않아 정확한 배출량 산정이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은 지난 2019년, 1970년대부터 구축한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기후대, 토양 특성, 분포 비율을 고려해 토지 이용, 토지 이용 변화와 임업 농경지 부분에서 국가온실가스 흡·배출량 산정에 필요한 토양유기탄소 축적계수 4종을 개발한 바 있다.
2021년에는 젖소의 사료 소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양을 산정할 때 필요한 배출계수 3종을 추가 개발했다. 축산부문의 주요한 온실가스는 메탄으로, 메탄 발생량은 반추가축의 장내발효 과정과 분뇨처리 과정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발생되는 메탄양을 정확히 산정하기 위해서는 국가 고유 배출계수가 필요했던 상황에서 젖소 연령에 따른 메탄 배출계수 3종이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최종 등록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온실가스 양을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농촌진흥청은 이러한 성과들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농업생산 환경을 반영한 국가고유계수를 2021년 34종(경종 28, 축산 6)에서 2050년까지 64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 통계 및 산정방식을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이행하고 평가하는데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농축산 분야 온실가스 주요 감축 수단인 가축 장내 발효, 논물 얕게 걸러대기 등의 메탄 배출계수를 추가로 개발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친환경농법인 무경운, 풋거름작물 재배, 돌려짓기(윤작)를 실천했을 때 농경지에 저장되는 탄소 축적계수를 개발하여 온실가스 흡수원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저탄소 농업기술 개발 확대

농촌진흥청은 디지털 기술과 연계한 논물 관리기술 현장 확산 및 화학비료를 줄이기 위해 적정 비료사용 기준을 설정하고, 저탄소 유기농 기술의 현장 실용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벼 중간물떼기 기간을 1~2주에서 2주 이상으로 연장하는 것과 논물 얕게 걸러대기 효과를 분석하고, 영농현장 보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논물관리 기술에 따른 메탄 감축량은 2021년 10만 톤에서 오는 2025년에는 24만 톤, 2030년 이후에는 54만 톤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올해 중으로 논 물높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자동물꼬시스템 개발도 추진 중이다.
이와 함께 질소비료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적정 비료 사용기준 설정 작물을 2025년까지 246작물로 확대하고, 화학비료를 적게 주고도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벼 품종인 ‘그린라이스’를 개발·보급하여 환경친화적 농업을 확산한다.
축산 분야에서는 탄소배출 최소화를 위한 가축분뇨 자원순환 기술을 개발하여 현장에 확산하고, 국산 메탄 저감제 개발, 저단백질 사료 급여 기술,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과학적 정밀 사양관리 기술 보급을 확대한다.
또한 태양광·열, 지열 등 복합 열원을 이용한 농업용 냉난방 시스템 개발 등 신재생에너지의 농업적 이용 확대와 에너지 효율을 향상하고, 고효율 에너지기술 실용화를 통한 보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탄소중립 중점추진과제별 2050 목표
탄소중립 중점추진과제별 2050 목표
탄소중립 실천운동
탄소중립 실천운동

농경지 온실가스 흡수 기능 강화

농촌진흥청은 지난 2018년 농업분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바이오차(Biochar) 팰릿을 활용한 탄소 격리 기술을 개발했다. 바이오차는 가축분뇨나 농산부산물과 같은 바이오매스를 열분해해 고체로 만든 일종의 숯이다. 땅 속에 탄소를 가둬 온실가스로 배출되는 탄소 양을 줄이고, 토양의 질을 개선하는 등 토양생태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줘 주목받고 있는 온실가스 흡수원이다.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은 바이오차의 토양개량제로서의 효과를 검증하고 적정 사용기준을 마련하여 농경지에서의 활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먼저 지난해 자발적 감축사업 방법론을 등록한 데 이어 2022~2023년에는 효과 검증, 2024년에는 현장 보급을 추진한다.
또한 유기물, 무경운, 동계 피복작물 등 영농 기술별로 토양의 탄소 저장능력과 경제·환경적 가치를 평가해 저탄소 농법의 효과를 현장에 확산하고, 농경지 탄소저장을 위한 실천 지침서를 개발하여 지방자치단체나 현장에서 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참여도가 높은 농가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을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탄소 저감 기술 현장 확산

탄소 저감 기술을 현장에 확산하기 위해서는 중앙, 지방, 민간의 체계적인 협력이 중요하다. 먼저 농촌진흥청은 논물관리, 바이오차 활용 등 이미 개발된 감축기술을 시범사업과 연계하고, 감축기술의 현장 실증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그리고 이러한 저탄소 농업기술 연구 성과가 현장에 조기 확산될 수 있도록 농촌진흥청-실용화재단-지방농촌진흥기관 간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우수한 민간 기술에 대한 사업화를 적극 추진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농업인 단체와 함께 탄소감축을 위한 ‘3고(올리고, 내리고, 유지하고) 실천 운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농업인에게 기술정보를 제공하고, 도원, 시군 농업기술센터, 지도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전문 인력을 양성해 인식 확산을 추진한다.

탄소중립을 위한
협력·소통 필요

바이오차 │ 출처 : 경상남도 환경농업연구과
바이오차 │ 출처 : 경상남도 환경농업연구과
농촌진흥청은 탄소중립에 필요한 기술을 적극 개발하고 보급하기 위해 2022년에 268억 원 규모의 예산을 확보했으며, 탄소중립 연구 인력도 지속적으로 확충하여 농축산 분야 탄소중립이 실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탄소중립은 농업 전반에 대전환을 요구하는 도전적인 과제지만,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꼭 실행되어야 하는 일이다. 농촌진흥청을 비롯해 농업연구기관, 농업인, 소비자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협력·소통하여 현재, 그리고 미래를 위한 농업의 가치를 이어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