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농업기술이란?
농업인이 원하는 정보를 가공ㆍ정제ㆍ선별을 거쳐 알기 쉽게 전달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과실의 꽃받침 부근에서 방사상으로 열과 하는 것, 과일의 어깨 부근에서 동심원상으로 열과 하는 것, 측면이 열과 하는 것이 있다.
공통 과수화상병 전문가 상담 앱 개발로 조기 발견 시대 열려
농촌진흥청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개발한 과수 화상병 전문가 상담 앱은 농촌진흥청이 그동안 가지고 있던 사과, 배 부위별 증상 사진 2만 3,000여점을 기반으로 의심되는 줄기, 가지에 발생한 궤양 사진 외에 봄철 새순과 꽃, 열매 사진 등을 찍은 뒤 앱에 올리면, 사진 정보와 비교해 감염 여부를 알아 볼수 있다.
과실의 생리적 장해는 꽃의 수분 및 수정조건, 식물체의 영양상태, 기상환경 등의 영향을 받는데, 저온이나 구름 낀 날이 계속되면 꽃가루가 터지는 속도가 늦어지며 습도가 높아도 개약이 잘 되지 않는다. 화분은 개화 하루 전부터 발아능력을 갖지만 개화 다음 날 발아능력이 가장 높고 4~5일 후에는 거의 상실한다. 정상적인 개화와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과실의 생장이 왜곡되어 기형과 등의 생리장해가 발생할 수 있다.
식물체가 어리고 초세가 강한 수확 초기에는 발생이 적으나, 식물체가 노화되고 병이 발생하거나 양분 및 일조부족,건조 등으로 영양상태가 나빠질 때 많이 발생한다.
공통 시설재배 감귤(만감류) 추위 대비 적정 온.습도 관리로 품질 유지
추위에 노출된 만감류는 과육 껍질이 얼고 쓴맛이 두드러져, 품질 저하로 농가소득 감소로 이어져, 영하 1도(℃) 이상 온도 유지와 환기 신경 써야
약용작물은 주로 뿌리를 이용하고, 여러 해에 걸쳐 재배 하므로 수확량과 품질을 높이려면 겨울 관리가 중요하다. 감초, 더덕 등 추위에 유의해야 할 5종 작물의 겨울나기 관리 요령을 소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