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농업기술이란?
농업인이 원하는 정보를 가공ㆍ정제ㆍ선별을 거쳐 알기 쉽게 전달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우리나라 밀 소비량은 연간 200만톤에 이르지만, 국산 자급율은 극히 낮은 수준이며, 전체 밀 소비 중 41%를 차지하는 면류 분야에 적합한 국산 품종이 부족하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국수용 밀 신품종 한면을 개발하고, 보급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병이 줄기에 걸리면 처음에는 암록색의 작은 반점이 생기고, 점차 갈색으로 변하면서 약간 오목하게 패인다. 점차 진전되면 중앙부가 줄기를 따라 쪼개지기도 한다. 어린 줄기가 병이 들면 병든 부위 위쪽의 생장이 정지되고 그 부위에서 액아가 발생하며 순멎이 현상이 나타난다. 과실의 경우, 암록색의 작은 반점이 생기고 점차 갈색으로 변하면서 오목하게 파인다. 병반 표면에는 흑갈색 곰팡이가 그을 음처럼 생기며, 중앙 부분이 갈라지면서 진액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병든 과일은 한쪽으로 구부러진다.
잡곡은 식이섬유, 폴리페놀, 단백질 등 풍부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기능성 소재로서 가치가 높다. 현재 시판된 잡곡 혼합제품은 주로 맛과 식감 위주의 배합에 그쳐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당뇨병과 고혈압 예방을 위해 개발한 최적의 잡곡 혼합비율과 기능성 증진 가공기술을 기반으로 산업화를 추진해 다양한 성과를 내고 있다.
공통 겨울철 딸기, 지금부터 화분매개용 벌 지금부터 준비하세요!
꿀벌.뒤영벌은 사육환경. 투입시기. 벌의 상태 고려해 철저히 관리해야, 겨울철 딸기 수확량 확보 및 고품질 딸기 생산 가능
공통 수출농산물 농약안전사용 온라인에서 쉽게 찾아 본다
농촌진흥청은 수출농산물 84종의 농약안전사용지침을 온라인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해 웹페이지를 구축, 공개하였다.
공통 오이 호박황화모자이크 바이러스 매개충 방제 피해 예방
오이 호박황화모자이크 바이러스 매개충 방제 피해 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