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농업기술이란?
농업인이 원하는 정보를 가공ㆍ정제ㆍ선별을 거쳐 알기 쉽게 전달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시설하우스에서 만감류인 "부지화(한라봉)'와 '감평(레드향)'을 재배할 경우 빈번한 상부 관수로 과피에 이상 증상이 발생할수 있다. 해충(총채벌레, 녹응애) 피해와 유사하여 농약을 남용하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한다. 지금까지 이와 관련된 보고가 거의 없어, 피해증상을 통한 정확한 인지로 농약 남용ㅇ과 피해를 경감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양파의 가장 바깥 인엽부위칭이 여러겹이고, 품종 고유 특성의 색을 틔면 저장이 잘되며, 내부 품질로는 당도가 높고, 수분함량이 적으면, 저장성이 좋고, 양파의 황화알릴 및 페놀화합물도 저장성에 영향을 미친다.
중국 남부지방에서 기류를 타고 날아오는 비래해충으로 주로 남서 해안지방에 많이 발생한다. 피해 예방을 위해 적극적인 사전예찰과 철저한 방제가 필요하다. 적기에 방제하지 않으면 짧은 시간 내에 피해가 확산되어 전체의 벼 잎이 하얗게 되어 벼의 등숙률에 큰 영향을 주게 되어 살 품질이 떨어진다.
콩꼬투리가 커지고 콩알이 여무는 생육 후기에 잘 발생하는 병해충 방제에 대한 철저한 사전관리를 통해 안정적인 수확량 확보에 중요하다. 이 시기에 문제가 되는 콩 병해충은 탄저병, 미라병, 자주무늬병, 노린재류 등이 있다.
요즈음 고랭지 여름배추 재배 현장에서 가장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 것은 고온 피해 예방으로 여름배추 안정적 생산이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미세살수를 통한 온도제어 기술 등 다목적 관수 시스템을 개발 보급하고 있
쪽파는 잎이 가늘고 부드러우며 파와 같은 독특한 향기가 있고 철분, 비타민A 및 C 등이 풍부한 채소로, 몸의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더러운 피를 씻어내며, 뇌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킨다. 강혈재 혹은 청혈재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