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토 농사,
스마트팜으로
똑똑하게

팜큐베이터 김기현 대표

글 ㅣ 김주희 사진 ㅣ 박형준
전북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에 입주해 있는 팜큐베이터.
이곳에서는 3,966㎡ 규모 스마트팜에서 토마토가 무럭무럭 자라고 있다.
아기들이 면역체계를 갖추고 잘 성장하게끔 돕는 인큐베이터처럼,
농장에서 키우는 토마토를 스마트팜으로 더욱 건강하게 키우겠다는 팜큐베이터 김기현 대표를 만나봤다.

농업에 뜻을 갖고 귀농하다

팜큐베이터 토마토 농장에 들어서니 천장이 높은 온실에서 초록색의 단단한 토마토들이 주렁주렁 달려있다. 오전에 빨갛게 익은 토마토들은 수확한 상태라고 설명하는 김기현 대표에게선 흔히 떠올리는 농업인의 모습보다는 젊은 창업가 같은 느낌이 풍겼다.
“이곳은 저를 포함한 청년농업인 3명이 공동으로 토마토를 재배하고 있어요. 각자 1,300㎡ 규모지만 굳이 농장을 구획하지는 않고 있습니다. 매일 토마토 80상자가량을 공동으로 수확하고, 공판장과 스마트스토어, 행사장 등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팜큐베이터는 지난 2020년에 설립되었다. 고등학생 때 우연히 미국의 스타 요리연구가인 댄 바버의 강연 동영상을 보고 지속 가능한 먹거리의 중요성을 깨달았다. 농업을 진로로 정하고 전북대학교 농생명학과에 진학했다. 식물병리학을 중점적으로 공부하며 농업에 대한 이론을 착실하게 쌓아나갔다.
“당시만 해도 세계농업에 한 획을 긋겠다고 자신만만했지만 현실은 달랐어요. 학교를 다니면서 전국 행사장에서 칵테일, 닭꼬치 등을 팔아봤는데 사람을 만나는 일이 잘 맞더라고요. 다양한 농업 분야 중 사람을 만나는 일은 농사라고 생각했습니다. 대학 졸업 후 김제로 귀농했지요.”
마침 은퇴를 앞둔 아버지와 함께 귀농을 했다. 농업 기반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걱정과 두려움이 컸다. 농사도 결국엔 소득이 있어야 가능하기 때문에 이모작을 할 수 있는 감자농사를 선택했다. 어떻게든 최대한 소득을 만들고 싶었기 때문이다.
“아버지와 함께 지역 어르신들을 찾아가 무작정 배웠습니다. 직접 부딪혀볼 수밖에 없었어요. 어르신들도 어린아이를 키우는 것 처럼 저를 많이 도와주셨습니다. 그렇게 땅 79,338㎡를 빌려서 감자농사를 시작했는데, 첫 농사였지만 나름 선방은 했습니다. 사실 면적이 작아서 더 많이 관심을 갖고 관리를 하니 결과가 좋을 수밖에 없었지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토마토 재배

감자농사를 지으면서 농업을 알아가고 이론과 현장을 접목해볼 수 있었다. 하지만 문제가 있었다. 한겨울에 감자농사를 짓는데 가온시설이 없었다. 영하 10도가 되면 감자농사를 짓는 마을 사람들이 전부 온실에 불을 지피러 다녔다. 연료통도 없어서 신문지에 불을 붙여 조금이나마 온도를 높이려고 애를 썼다.
“2년 정도 감자농사를 지으니 제가 배운 농업기술과 실제 농업현장은 전혀 다르게 흘러갔습니다. 병충해 발병 생태를 알고 있어도 현장 적용이 어려웠습니다. 장마가 오면 손 쓸 수 없는 일들도 있었고요. 이론이나 기술을 토대로 농사 전략을 세워야 하는데, 하늘에 맡기는 수밖에 없는 현실이 답답했습니다. 그래서 스마트팜을 해야겠다고 결심했습니다.”
김기현 대표는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에 사업계획서 평가와 면접 등을 통해 입주할 수 있었다. 스마트팜에서 재배할 수 있는 작물은 토마토, 방울토마토, 오이, 파프리카 등이 있지만 김기현 대표는 토마토를 택했다.
“토마토 재배에 관한 정보가 필요한데, 정보량이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작물이에요. 논문도 잘 나와 있어서 저 혼자서 시작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작물이 농업인을 선택한다는 말이 있는데요. 오이는 자라는 속도가 빨라서 한 순간도 쉬지 못해요. 제 인생에 긴박한 일이 생겼을 때 하루 정도는 쉴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에 토마토를 시작했습니다.”
팜큐베이터 스마트팜에는 ICT 기술을 접목한 원격제어, 자동환경 조절 프로그램, 냉난방 기기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작물 생육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배지저울이 있어서 실제로 토마토가 물을 흡수하는 양을 확인할 수 있다. 물이 줄어들면 그만큼 물을 넣어주면 되기 때문에 물과 양액 사용량도 절약할 수 있다.
“토마토는 물을 흡수하는 양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물로 생리장애를 예방할 수 있지요. 또한 온도관리를 위해 온실 내부 층고가 높아야 하는데요.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기본 골조가 잘 갖춰져 있어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덕분에 토경재배보다 20%가량 생산량이 높습니다.”

스마트팜 6차 산업으로 새로운 도전 시작

스마트팜으로 농사를 짓다 보니 인력 수급 문제나 시간에서 자유로워졌다. 귀농 후 지난 4년 동안 단 하루도 쉬어본 적이 없었다면, 지금은 그래도 일주일에 하루 정도는 쉬는 시간을 갖는다.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 임대기간이 3년이라 내년 6월에는 자립을 해야 합니다. 지금 함께 농사를 짓고 있는 청년들과 ‘팀빠머’라는 청년농업인 모임을 만들었어요. 함께 온실을 지어서 스마트팜으로 농사를 짓기 위해 준비 중입니다. 단지화된 곳에서 농사를 지어 보니 장비나 자재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것이 큰 장점이더라고요. 개인이 농사를 지을 때도 단지화, 클리스터화를 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내년부터는 교육, 체험, 가공 등을 함께하는 6차 산업을 시작할 계획이다. 농업인에서 창업농으로 한 걸음 나아가기 위한 준비를하고 있다. 김제시에서 가공식품 사업 지원을 받아서 토마토 스무디도 개발해 놓은 상황이다.
“개인적인 욕심이지만 재배사를 육성하고 싶어요. 농산물을 재배하거나 수확하는 건 작업자들이 할 수도 있지만, 전반적인 관리가 필요하거든요. 스마트팜 보급이 확대될수록 재배사 육성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김기현 대표는 앞으로도 스마트팜으로 더욱 효율적인 농사를 짓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최근엔 스마트농업 AI 경진대회에 참여해 본선까지 진출했다. 완전 자동으로 스마트팜을 운영하기 위한 알고리즘 개발을 전북대 스마트팜학과와 협업해서 진행하고 있다.
“현재 팜큐베이터 스마트팜 데이터는 농촌진흥청 디지털농업추진단에 제공되어 메타팜 연구ㆍ개발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스마트팜은 본인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더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그런 부분에서 메타팜 개발에 팜큐베이터 데이터가 활용된다면 개인적으로 보람찰 것 같습니다. 청년농업인들도 농업ㆍ농촌에 기여한다는 책임을 가지고, 스마트팜에 뜨거운 가슴으로 도전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