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여름이다.
작렬하는 태양, 푸른 바다와 시원한 계곡 생각에 벌써부터 엉덩이가 들썩인다.
하지만 설렘도 잠시. 여름 휴가지를 선택하는 데 빨간불이 켜졌다. 어느 때보다 국내 관광지에 엄청난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평상시에도 휴가철에는 전국 어디를 가나 피서객들로 발 디딜 틈이 없는데, 코로나19 여파로 해외여행이 불가능해지면서 상황이 더 심각해졌다.
작년 한 해 동안 해외로 출국한 사람은 2,800만 명. 이 중 여름과 겨울 성수기에 출국한 비중은 36%에 달한다.
어림잡아 1천만 명이 외국으로 나가지 못하고 국내 관광지를 찾게 된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올 여름 휴가는 어디로 떠나야 할까?
다행히도 방법은 있다. 우리네 농촌을 찾으면 된다.
복잡한 관광지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고즈넉함을 느낄 수 있는 곳이 바로 농촌 체험 휴양마을이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농촌 여행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삼시세끼’나 ‘도시어부’ 등 방송 프로그램의 영향으로 왁자지껄하게 무언가를 하지 않더라도
조용한 농촌에서 소확행을 즐기며 진정한 휴식을 취하고 싶은 사람이 많아졌다는 얘기다.
실제 농촌을 찾는 관광객 수를 보면 2016년 1천만 명에서 2018년 1,237만 명으로 2년 만에 24% 증가했다.
우리나라 농촌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도 2016년 16만 명에서 2018년 22만 명으로 35%나 늘었다.
농촌을 찾는 목적을 조사한 결과도 이 같은 현상과 무관치 않다.
2017년 농촌진흥청이 실시한 ‘농촌관광 실태조사’에 따르면 농촌 방문 목적 중 휴식과 휴양이 23.6%로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자연명승과 풍경감상이 22.7%, 지역 음식과 맛집 체험이 18.9% 등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전체 관광 중 농촌 관광이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미미하다. 하지만 재방문 의향은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응답자 중 75.4%가 재방문 의사를 나타냈다. 또 농촌 관광에 대한 만족도는 78.3점으로 ‘만족’ 수준을 보였다.
농촌 관광에 참여하고 싶다는 의향 역시 2003년 43%에 불과했지만 2016년에는 73%로 크게 증가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농촌 체험 휴양마을 숫자도 크게 늘었다.
2019년 기준으로 전국에 1,115곳이 운영 중이며, 연간 방문객 수는 1,307만 명에 달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이 같은 추세는 계속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생활 속 거리두기는 여행이라고 예외는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올 여름 가볼만 한 농촌 체험 여행지는 어디일까?
남녀노소 온 가족이 만족할 수 있는 농촌 체험 휴양마을 두 곳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