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창민 대표가 푸른농장을 경영하게 된 것은 2002년, 40년간 감귤을 재배해온 아버지에게 감귤농장을 물려받은 것이 그 시작이다. 처음에는 아버지의 경험에 의지해 함께 감귤 농사를 지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아버지와 자신이 농업에서는 뜻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됐다. 감귤품종부터 재배방식까지 서로의 차이를 느끼곤 했다. 이후 강창민 대표가 혼자 힘으로 감귤을 재배하기로 결심하면서 농장의 풍경도 크게 달라졌다.
가장 먼저 변화된 것은 품종이었다. 강창민 대표는 온주밀감에 대한 한계를 느끼고 있었다. 대부분의 감귤농장에서 온주밀감을 재배하면서 수확기인 1~2월에 물량이 한 번에 쏟아졌다. 자연스럽게 가격이 하락할 수밖에 없었다. 맛이나 향에서 특별함을 찾을 수 없어 경쟁력을 갖기 어렵다는 단점도 있었다.
“기상변화에 따른 문제도 있었습니다. 온주밀감은 제주도 서귀포시 남원이 주산지였는데, 강우량이 많고 기습폭우도 자주 발생해서 고품질 감귤을 만들기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감귤나무가 수분을 과다하게 흡수하면 당도가 많이 떨어지거든요. 여러 해 농사를 짓다보니 이러한 문제를 더 빨리 체감할 수 있었고, 온주밀감이 적합하지 않다는 생각을 계속 했었습니다.”
마침 온주밀감 나무들이 40년생이 되어 교체해야 할 상황이었다. 가온재배를 하면서 수세가 떨어지고 고사하는 경우가 발생했던 것이다. 그러나 나무가 워낙 크게 자라 이를 대체할 나무를 구하기 어려웠다. 한참을 고민했던 강창민 대표는 감귤연구소를 찾아갔다.
“감귤연구소에서 ‘하례조생’을 추천 받았습니다. 하례조생은 특별한 향이 있고, 수확 후 산도가 감소하는 속도가 빨라서 고객 분들이 받아볼 땐 당도가 더 높아지는 장점이 있었어요. 온주밀감보다 훨씬 과즙도 풍부하고 맛이 뛰어났지요. 출하시기도 11월이라 온주밀감보다 2개월 정도 빠른 것도 농장 입장에서는 큰 장점이었습니다. 당시 하례조생을 재배하는 농가가 많지 않다는 것도 저에게는 기회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렇게 강창민 대표는 2014년부터 3년생 묘목을 들여와 하례조생을 재배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온주밀감과 하례조생을 반씩 재배했다. 하례조생을 수확할 수 있을 때까지 온주밀감으로 매출을 일정 부분 유지하려는 목적도 있었지만, 두 개의 품종을 비교해보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 그리고 그 결과, 하례조생이 훨씬 뛰어난 맛을 지녔다는 걸 확인했다. 그렇게 과도기를 거쳐서 온주밀감을 전부 하례조생으로 교체하게 됐다.
“하례조생은 크기가 큰 품종이지만 당도가 높다는 것이 특징이에요. 일반적으로 감귤은 크기가 크면 싱겁다는 인식이 있는데요. 하례조생은 크기와 상관없이 당도가 높아 과즙을 풍부하게 느끼고 싶은 분들이 맛보면 좋은 품종이에요. 또한 감귤연구소에서 개발한 미니향도 함께 재배하고 있습니다. 미니향은 골프공보다 작은 크기지만 달콤한 맛과 향을 지녀 틈새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품종이에요. 큰 감귤을 먹기엔 부담스러운 여성이나 아이들이 디저트용으로 하나 정도 맛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진 품종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