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 농촌자원과 홍송원 지도사
홍송원 지도사는 농업농촌의 다양한 유무형 자원들을 활용하여 농업인들이 농가 소득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일반적으로 농업을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되는 작목을 기초로 한 제품들, 그밖에 지역에 전승되어 온 문화, 자원, 농업인들의 솜씨와 능력 등, 그 모든 것이 사업화될 수 있는 아이템들이다.
“상품과 소비자가 만날 수 있도록 소개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지역에서 농업인들이 정성을 들여 상품을 만들지만 소비자와 만날 접점을 찾지 못하는 안타까운 경우들이 있거든요. 그래서 농업인들의 상품이 좀 더 가치 있게 보여질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릴 방법을 다방면으로 모색합니다.”
작목별로 대중화된 가공식품의 경우에는 경쟁력을 갖추기가 쉽지 않다. 유사한 제품이 이미 시장에 많이 나와 있다면 후발 주자 입장에서는 진입하기 어렵다. 이럴 경우에는 제품의 목적에 맞게끔 방향을 조금만 수정해도 소비자 입장에서는 새로운 상품으로 느낄 수 있다. 예컨대 음료를 만든다고 가정하면, 착즙 방식이나 과육의 성상을 다르게 접근하면 차별점이 생길 수 있다. 이처럼 농업인들이 고민하여 제품을 개발할 때 차별점을 고려할 수 있도록 자문과 교육 등을 지원하고 있다.
“가공식품 우수사례로 꼽힌 충남 서천의 모시떡의 경우 저희와 연계하여 홈쇼핑에 참여를 하셨어요. 서천은 쌀과 모시가 많은 지역인데 이 두 개를 활용해서 모시 함량이 높은 송편 등 떡 제품들을 만들고, 나아가 한입에 먹을 수 있는 소단량의 소포장 제품들로 확장해 나갔어요. 함께 진행한 홈쇼핑도 성공하고 이후에도 꾸준히 방송을 이어서 진행하면서, 대외적으로 판매도 많이 한 성공적인 사례로 손꼽힙니다.”
유형의 상품뿐 아니라 무형의 상품들도 개발되고 있다. 전남 담양의 농가 사례가 대표적이다. 담양군에서는 지역에서 개발된 죽향 딸기를 많이 재배하고 있는데, 이를 지역의 명소와 연계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담양 메타세콰이어길과 인접한 사업장에서 농업인들이 재배한 딸기를 가지고 공동의 브랜드를 만들어 카페와 체험 서비스를 시작했고, 주변 농가들과 힘을 모아 작목별로 다양하게 프로그램을 확대하며 연중 운영하게 된 것이다. 이밖에도 관광객들의 여행 코스에 걸맞게 제품을 개발하고 공간까지 만들어서 사업에 성공한 사례들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