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주성 박사를 만난 건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였다. 이곳은 지난 1961년 ‘농사원 고령지시험장’으로 처음 개설되어 고랭지 작물의 신품종 육성, 고품질 다수확 생산기술, 친환경 농법 등 국내 고랭지 농업 관련 종합연구를 수행하는 농업연구기관이다. 특이하게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해발 800m에 위치하고 있는 터라 분명 서울을 떠날 때는 완연한 봄 날씨였건만 이곳에 오니 아직 쌓여 있는 눈과 영하의 날씨를 만날 수 있었다.
“많이 춥죠? 강원도 평창은 다른 지역보다 평균 5~6℃ 가량 기온이 낮아요. 게다가 연구소가 해발 800m에 위치하다 보니 더욱 춥고 바람도 많이 불어요. 감자를 육종하거나 농가에서 재배할 때는 씨감자를 사용하는데요. 씨감자는 바이러스나 곰팡이 병이 없는 깨끗한 감자여야 합니다. 낮은 기온에서는 바이러스를 옮기는 해충들의 월동이 어렵기 때문에 품질 좋은 씨감자를 생산하기가 좋아서 이곳에 연구소가 지어진 거죠. 대부분의 씨감자 밭들이 산악지대에 있어서 일반 감자밭과 거리두기도 편하고요.”
추운 날씨가 익숙한 듯 임주성 박사가 몸을 녹일 따뜻한 차를 건네며 씨감자에 대한 이야기를 꺼냈다. 누구나 감자를 즐겨 먹고 자주 접하지만 감자에 대해 잘 아는 이는 드물다. 감자를 재배하기 위해선 씨앗을 심는 것이 아니라 ‘병이 없는 감자’를 심어야 하는 이유는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다.
“감자는 진정종자로 불리는 씨앗을 심으면 같은 열매에서 나온 씨앗임에도 불구하고 모양, 색깔 등이 제각각인 감자가 맺힙니다. 이 때문에 감자는 덩이줄기인 감자 자체를 심어서 재배하는 것이죠. 그리고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바이러스와 같은 병이 없는 씨감자를 사용해야 다수확이 가능하다는 겁니다. 바이러스병에 걸린 씨감자를 심으면 수확량이 절반가량 적어지거든요.”
씨감자는 농가에 보급되기 전까지 실험실에서 병이 없는 식물체를 만드는 단계부터 시작하여 약 4~5년의 증식기간을 거친다. 연구소에서는 씨감자를 수경재배 방식으로 생산하는 기술을 최초로 개발하여 실용화하는 데 성공했다. 덕분에 상토 소독, 병해 관리 등 애로사항이 크게 줄어들었다. 특히 세계적으로 활용성이 큰 식물공장 시스템 등 다양한 방식의 씨감자 생산기술과 병해충 종합관리 체계 관련 연구를 선도하여 세계 1위의 씨감자 생산기술을 보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