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호 대표가 아버지의 파프리카 농장을 이어받은 것은 2013년이다. 그전에는 토마토를 재배하다가 작목 전환으로 파프리카를 심었지만, 박민호 대표는 여기서 다시 한 번 작목 전환이라는 어려운 결정을 내렸다. 바나나와 샤인머스캣, 키위 등 총 9가지의 작목을 시험 재배해본 뒤 결정한 것은 애플망고 묘목이었다. 시설재배를 응용하는 데 가장 적합한 작목이기도 했지만, 재배 기술을 쉽게 매뉴얼화하기 힘들어 재배 확산이 어렵다는 점도 한 몫 했다. 시설채소에 비해 인건비가 적게 든다는 것도 장점이었다.
“망고는 하루가 다르게 익는 과일이에요. 그런데 우리나라로 들여오는 망고들은 다 훈증 열탕처리와 같은 검역과정을 거쳐야 해요. 잘 익은 망고는 이런 과정을 버티기 어렵고 유통 과정 중에도 과후숙되는 경우가 많아 정말 신선한 망고를 먹기는 힘들거든요. 반면 우리나라에서 직접 키운 망고는 유통이 상대적으로 빠른 만큼 잘 익힌 망고를 배송하는 것도 가능해요. 그런 점에서 고부가가치 작목이 될 거라 생각하고 망고 온실을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망고 묘목을 재배한지 3년, 박민호 대표는 그동안 아슬아슬한 길을 걸어왔다. 애초에 작목 전환을 한 이유가 낮은 매출 때문이었는데, 망고로 매출을 내기 위해서는 소득이 없는 상태를 견뎌야 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족들이 함께 가꾼 농장을 사활을 다해 유지하겠다는 마음이 결국 박민호 대표가 승기를 잡게 만들었다.
“아버지가 시설농업에 몸담으신 지 근 30년이 되셨어요. 어렵게 땅을 넓혀가며 시설을 만드신 이상 자식으로서 지켜드리고 싶다는 마음이었습니다. 사실 농사 측면에서 어려움을 느끼지는 못했어요. 망고 자체가 시설채소농업과 과수농업의 중간에 위치한 만큼 제가 알고 있는 지식들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했거든요. 하지만 금전적인 부분에서는 고생을 많이 했죠. 시설 개보수를 한다던가 보다 경쟁력 있는 품종을 도입한다던가 하는 점에서 고민이 많았어요.”
그 과정에서 도움이 된 것은 한농대에서 채소학과를 다니면서 배웠던 전공 지식과 경험들이었다. 특히 채소학과에서 배웠던 양액재배를 망고 농사에 적용하면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 예상치 못한 상황이 닥쳤을 때 이를 헤쳐 나가는 응용력도 학교에서 필수로 참가해야 하는 장기실습을 통해 배웠다는 것을 체감하기도 했다.
“사실 학교에서 농업과 관련해 배웠어도 직접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 우물 안 개구리라고 깨달을 거예요. 학교에서 배우는 것은 환경이 조절되는 상황이지만, 실제로는 변수가 많거든요. 그런 점에서 장기실습은 돈으로는 살 수 없는 경험이에요. 한농대에서 배운 것을 활용해볼 수 있는 바탕을 만들어준 시간이기도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