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장한 샤인머스켓을 들고 있는 이종헌 대표
차령산맥과 소령산맥의 중간인 상주는 고도가 높고 일교차가 큰 곳으로 알려져 있다. 농사를 짓기에 수월하지 않을 것 같은 이곳은 매년 10월 말이 되면 분주해진다. 샤이왕의 이종헌 대표와 작목반 일원들, 농가 12곳이 샤인머스켓을 수확하기 때문이다. 약 13만3,000m2에 이르는 샤이왕은 상주의 기후와 토양의 차이를 극복하고 해외 수출까지 하는 최상급 샤인머스켓을 재배하고 있다.
“2017년부터 우리나라에 샤인머스켓 열풍이 불고, 상주에도 샤인머스켓을 재배하는 농가가 생기기 시작했어요. 저는 당시에 캠벨포도를 재배했는데 샤인머스켓이 중국으로 수출을 시작하면서 수익성이 훨씬 좋다는 이야기를 들었어요. 캠벨포도의 품질도 좋아 인기가 많았는데 샤인머스켓도 재배 방법이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라 생각해서 동네 선후배 농가들과 함께 시작했죠.”
샤인머스켓은 금포도라고 불릴 만큼 맛도 좋고 영양도 풍부한 과일이다. 하지만 다양한 병충해 피해가 있어 봉지 씌우기, 물길 정비 등 세심한 관리와 기술이 필요하다. 이종헌 대표는 열정으로 시작한 샤인머스켓 농사에서 많은 우여곡절을 겪어야 했다.
“샤인머스켓은 바람과 빛이 잘 통해야 하고 밭을 깊게 갈거나 산도를 맞추는 등 기본적인 환경 조성이 중요해요. 또한 영양분도 많이 줘야 하는데 처음에는 어려움이 많았어요. 재배하기에 까다로운 것은 아니지만 시설과 비료 면에서 기존 포도와 비용차이도 많이 났고요. 원자재와 인력도 무시할 수 없는 사항이었어요. 하지만 힘들 때마다 농가들끼리 서로 도우며 이겨냈죠.”
이종헌 대표를 포함한 작목반들은 문제점과 해결책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최상의 샤인머스켓을 재배하기 위한 정보도 활발히 교환했다. 농촌진흥청, 상주시청, 상주시농업기술센터,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등의 도움을 받으며 샤인머스켓에 대해 연구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그렇게 최상의 샤인머스켓을 생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최고의 품질을 인정받는 샤이왕으로 거듭날 수 있었다.
“상주에서는 포도가 완숙되었을 때 수확하는데 그때 당도는 16브릭스 정도예요. 남부지방에서 생산되는 샤인머스켓은 18브릭스 정도 나오는데요. 당도만 비교했을 때는 저희가 재배한 샤인머스켓이 덜 단 거죠. 하지만 상주는 일교차가 큰 기후 덕분에 샤인머스켓의 경도가 단단한 특징이 있어요. 식감이나 향이 더 좋아지죠. 사실 당도는 일정 수준 이상만 나오면 돼요. 샤인머스켓의 품질을 결정하는 건 경도와 향이죠. 실제 소비자를 대상으로 시식회를 했을 때 저희 샤인머스켓이 식감과 향이 더욱 조화롭고 맛있다는 평이 많았어요.”
이종헌 대표와 작목반이 공동 브랜드로 내세운 샤이왕은 2020년 매출이 26억에 달할 만큼 큰 농가로 성장했다. 샤이왕은 상주의 명성을 높임과 동시에 가족이 된 모두의 결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