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청 60주년
농촌진흥청 대표기술 성과

글 ㅣ 편집부자료 ㅣ농촌진흥청 개청 60주년 기념사업 추진기획단
우리 농업은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통해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며 현재 농업강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우리의 농업·농촌의 발전을 이끌어온 농촌진흥청의 60년 역사에서 소비자와 농업인이 뽑은 대표기술 성과를 알아보자.

딸기 품종 국산화

01. 국산 딸기 품종 보급률
(단위 : %)

연간 로열티 약 30억 원 절감 2005 9.2 2008 42.4 2010 61.1 2012 74.5 2014 86.1 2016 92.9 2018 95.5 2020 96

수입 농축산물
국산 둔갑 원천 차단

벼 품종 식별 시스템 홍상 판별기술 한우·젖소고기 판별 기술

농업유전자원
철저한 보존·관리

농촌진흥청(전주) 266,649자원 농촌진흥청(수원) FAO-CGDT(스발바르) 산림청(봉화) 4중복 보존 관리 체계 구축 안전보존

과학적 거래제도 확립을 위한
축산물 등급기준 마련

쇠고기 육질등급(1++, 1+, 1, 2, 3), 육량등급(A, B, C) 돼지고기 도체등급(1+, 1, 2)
닭·오리고기 중량규격(5호~30호), 품질 등급(1+, 1, 2) 계란 품질등급(1+, 1, 2), 중량규격(왕, 특, 대, 중, 소란)

쌀 자급자족 달성

01. 1971년 ‘통일벼’ 개발
(쌀 수량 - 단위 : kg/10a)

1960 304 63% 1977 494
02. 2017년 가공용 품종 ‘금강1호’ 개발
(쌀 수량 - 단위 : kg/10a)

1977 494 65% 2017 817
03. 2018년 밥쌀용 품종 ‘남찬’ 개발
(쌀 수량 - 단위 : kg/10a)

1970 441 44% 2018 634

한국형 씨수소 보급

01. 한우 출하체중 개량
(단위 : kg)
1974 358 2019 694
02. 젖소 유전적 개량 효과
(단위 : kg/년)
유량 26.25증가 유단백 0.71 증가

강소농(强小農) 육성

강소농 8만5,000명 자율모임체 833개소

체계적인 가공창업지원
지역농업 활성화 (2010~2021)

농산물 종합가공센터 96개소 가공상품개발 1,375종
국내농산물 활용 신규창업 566개소 일자리 창출 1만여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