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탄소는 어떻게 발생할까?
메시지, 전화, 인터넷, 동영상 시청 등을 이유로 하루 종일 스마트폰을 손에 들고 있는 사람이 많다.
얼마 전 한 예능프로그램에서 출연자가 스마트폰 중독테스트를 한 후 심각성을 느끼고 10시간 동안 스마트폰 사용하지 않기에 도전하는 모습이 나왔다.
그 모습을 본 시청자들은 공감하며 자신의 스마트폰 사용습관을 돌이켜 보기도 했다.
우리나라는 IT강국으로 국민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를 사용해 업무나 공부, 취미생활을 하곤 한다.
특히 LTE, 5G 등 인터넷 속도가 빠르고 대부분 장소에서 와이파이 연결이 가능해 언제 어디서든 디지털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우리가 이런 디지털 기기로 인터넷을 사용하면 데이터센터로 연결된다.
데이터센터는 인터넷 검색, 메일 전송, 온라인 쇼핑, 동영상 시청 등을 하며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 정보를 모아두는 시설이다.
서버를 적게는 수백 대, 많게는 수만 대 동시 운영하기 때문에 전기 사용량이 많은 데다 계속 가동해야 해서 ‘전기 먹는 하마’라고 불린다.
여기에 적정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기위해 냉각설비를 사용하는데 이때 엄청난 전력이 소모되고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환경부에 따르면 이메일 1통에 4g, 전화 통화 1분에 3.6g, 동영상을 시청하거나 다운로드 시에는 1MB당 11g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글로벌 비영리 단체인 ‘기후 케어(Climate Care)’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25억 명 사람들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연간 8억 3,000만 톤에 달한다고 보고했다.
이는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2%를 차지하는 수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