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자급률 향상을 위한
콩·밀 품종 개발 및 전략

정리 ㅣ 편집부
자료 ㅣ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밭작물개발과·밀연구팀
최근 기후변화와 코로나19,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 곡물 가격이 폭등한 가운데 식량 자급률 향상을 통한 식량안보가 더욱 중요해졌다.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콩과 밀의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신품종 개발·보급,
생산기반 확대 등을 목표로 다양한 업무를 추진하고 있다.
추진전략과 성과를 알아본다.

콩 자급률 향상을 위한 육종 전략

01. 콩 자급률 향상 추진일정
2021년 (논재배) 신품종 선정 (초다수) 생검 정밀 검사 (신수요) 인공교배 2022년 (논재배) 현장실증 시험 (초다수) 지적시험 (신수요) 상품성 개설을 위한 교배 2023년 (논재배) 농가공급 (초다수) 신품종선정위 (신수요) 유망개체선발 (2024~2025년 (논재배) 보급확대 (초다수) 현장실증 시험 (신수요) 세대단축 2026~2027년 (논재배) 보급확대 (초다수) 농가보습 (신수요) 우량계통 선발
02. 논·2모작 적응 다수성 콩 신품종 개발
정책 방향(농식품부)
품종개발(농촌진흥청)
공동경영체 육성 확대 ▶ 논콩 생산단지 지원 계획(~’25) - 컨설팅 제공, 밀-콩 2모작 재배단지 지원 등 ('20) 44개소 4,000ha ('21) 82roth 5,500ha (('25) 200roth 12,000ha
(품종) 기계화 품종, 조숙 다수성 품종 개발 ▶ 논 생육 및 기계화 적응성 향상 ‘장풍’ 개발 ▶ 2모작 적응성 및 수량성 향상 ‘선유2호’ 개발 고착협>기계화, 침수피해 회피 생육기간 단축> 밀, 양파 2모작 가능
수매비축 제도 개선 ▶ 중립종 수매 가격 인상(’21) 대립종의 95% 4,280원 '20년 > 300원 (2.5%p↑) 대립종의 97.5% 4,580원('21년)
(수량성) 중·대립 초다수성 품종 개발 ▶ 중·대립 초다수성(400kg/10a) 품종 개발 추진 중 단위: kg/10a 정부 수매 품종('21) 대원 293 선풍 340 대찬 330 대풍2 345 유망계통 413 디지털 육종 접목 생육특성 정밀평가 '21 생검 '22 자족 '23 신품종 '24~ 중식, 보급 디지털 육종 접목 생육특성 정밀평가 기관간 협력 > 조기 보급
계약재배 사업 추진 ▶ 계약재배 시 자금 지원(’21) 농업인 계약재배 원료곡 제공 계약/자금 가공업체 자금지원 생산판매
(가공적성) 극소립 검정콩 품종 개발 추진 ▶ 야생콩 수준 극소립 검정콩 품종 개발 추진 '20 세움(12g) '25 생애계통(8g) '27 야생콩(4g) 소립 혼밥용 기능성▲ 선호도▲ 계약재배 유도 내도복유한형 8g X 4g 탈립 무한형 F1 X 8g 여교배 기술 BC1F1 X 8g 유한형 선발 BC3F1 유한형 선발 BC3F2 4G 내도복유한형

밀 자급률 향상을 위한 품종 개발

01. 국내 밀 품종개발 현황
1970년부터 육성, 현재 45품종 개발 밀보급종 2009년부터 금강(’96) 생산 시작 1970~1980 7 올 그루 다홍 청계 은파 탑동 남해  1990 9 우리 올그루 알찬 고분 서둔 금강 새올 진품 밀성 2000 14 조은 조품 안백 신미찰 조농 조경 연백 다분 신미찰1호 백중 적중 수강 한백 수안 2010 15 늘찬 아리진흑 아리흑찰 태중 황금알 우주 호중 조한 백강 새금강 고소 다중 조아 백찰 조중
02. 밀 생산단지의 밀 품종별 재배면적(단위 : ha)
2021 2022 금강 1,924 2,434 새금강 1,881 3,286 백강 1,036 1,625 조경 214 318
03. 밀 자급률 향상을 위한
기술적 대응전략
비전 지속 가능한 국산 밀 산업 기반 구축 목표 밀 자급률 향상을 위한 생산기반 및 품질경쟁력 확보 품질 고급화 빵용 : 단백질 13%<면용 : 아밀로스 20% 재배면적 확대 밀 2모작 생육기간 단축(’21)345 → (’25)325일 생산 안정성 향상 (’21)400 → (’25)423kg/10a 1 고품질 품종 개발·보급 확대 •국수용·빵용 고품질 신품종 조기 확대 보급 •품질 가공 관련 유전자 개량 강화 2 품질 재배 안정성 향상 •드론 활용 용도별 최적 시비 기술 개발 •디지털 기반 물관리 기술개발 및 보급 3 국산밀 품질 관리체계 확립 •생산~유통 단계별 품질관리 기술 개발 •품질관리제도 기반기술 수매 현장 보급 4 밀 중심 2모작 확대 보급 •[밀+콩], [밀+벼] 2모작 재배 기술 확대 보급 •조숙 품종개발 및 만파 재배기술 확립 5 소비기반 확대 •기능성 및 통밀 이용 확대 기술개발 및 산업화 •국산밀 활용 용도별 블렌딩 기술개발 전국 밀 생산단지 재배품질관리 지원 ❶ 생산단지 데이터 수집 및 DB관리 플랫폼 구축 ❷ DB분석 및 수량 품질 요인 분석 ❸ 생산단지별 맞춤형 재배 안내서 및 기술 환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