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는 두 개의 실로 구분되어 있다. 하나는 토종닭과 토종오리 종자를 개량·개발하는 가금종자개발실과 사료, 사육환경, 동물복지, ICT 등 닭·오리 생산시스템 전반을 연구하는 가금생산시스템실이다. 차재범 연구사는 가금종자개발실에서 토종닭 개량 연구를 담당하고 있다. 닭고기의 경우 외국 종자회사에서 들여온 수입산 종계가 생산한 닭고기가 국내 전체 소비의 90%를 넘게 차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종닭을 연구해야 하는 이유가 있다. 단순히 종자 다양성을 확보하고 해외 로열티를 줄이는 것을 넘어서 우리나라 식문화에 잘 어울리는 종자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고기를 삶아먹거나 푹 고아먹는 식문화가 있어요. 그런데 일반 육계는 1.5kg 무게에 도달하는데 30일 정도밖에 안 걸리지만, 토종닭은 2.2kg에 도달하는데 70~80일가량이 걸립니다. 자라는 속도가 2배가량 차이가 나요. 성장속도가 빠르면 그만큼 고기가 부드러워지는데요. 그래서 육계는 속은 부드럽고 겉은 바삭한 치킨과 같은 음식에 적합하지만, 백숙처럼 오래 삶는 음식에서는 고기가 풀어져 버려 씹는 맛이 없어집니다. 그런 점에서 백숙, 삼계탕 같이 오래 삶는 우리나라 식문화에 최적화된 닭고기로서 토종닭을 육종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가금연구소에서 육종한 토종닭 실용계가 우리맛닭이다. 토종닭은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그중 옛날부터 우리 고유의 품종으로 자리 잡았던 닭을 재래종 토종닭이라고 부른다. 재래종 토종닭은 맛은 있으나 성장이 느린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가금연구소가 보유한 다른 토종닭과 교배해서 맛을 유지하면서도 성장의 단점을 보완한 닭이 우리맛닭이다. 우리맛닭1호는 2008년에, 우리맛닭2호는 2010년에 나왔다. 우리맛닭1호는 상대적으로 성장은 느리지만 고기 맛이 더 좋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우리맛닭2호는 육질이 부드럽고 성장이 빠른 것이 장점이다.
“우리맛닭이 나오기 전에도 토종닭 실용계가 있었어요. 한협3호라고 해서 국내 전체 토종닭 농가에서 사용했죠. 우리맛닭1호는 성장 속도가 한협보다는 늦었지만 고기 맛이 뛰어나 시장에서도 반응이 좋았습니다. 아직 우리맛닭의 소비 시장이 크지는 않지만 독자 시장을 갖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