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농촌진흥청

      정부업무평가소개

      주요정책 자체평가 운영 계획

      자체평가 방법

      • 평가 대상 : 성과관리 시행계획의 20개 관리과제
      • 평가 주기 : 상반기, 하반기
      • 평가 내용 : 관리과제별 계획 대비 추진 실적, 미흡·부진과제 개선·보완 사항
      • 평가 방법 : 농촌진흥청 평가관리시스템(REMS) 이용 온라인 평가

      자체평가 일정(안)

      자체평가 일정(안)

      구분, 추진일정, 주요논의 사항으로 구분하여 설명

      구분 추진일정 주요논의 사항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구성 3월

      (혁신행정법무담당관실)

      ∘ 자체평가위원 교체 등 정비

        * 자체평가위원회/소위원회

      시행계획 및 자체평가계획 수립 2~3월

      (혁신행정법무담당관실)

      ∘ 성과관리 운영지침, 업무계획 등 반영
      자체평가위원회 개최 3월

      (혁신행정법무담당관실)

      ∘ 시행계획 및 자체평가계획 심의
      상반기 추진실적 보고서 작성 6월

      (과제추진부서)

      ∘ 상반기 이행실적 보고서 작성
      상반기 이행상황 점검 7월

      (혁신행정법무담당관실)

      ∘ 관리과제별 계획 대비 추진실적 등 점검

        * 소위원회 온라인 평가

      ∘ 미흡, 부진과제 조치계획 점검

      성과관리 시행계획 수정 제출 7~8월

      (혁신행정법무담당관실)

      ∘ 관리과제, 성과지표 등 변경 반영한 자료를 자평위 심의후 국조실 제출
      성과지표 분석(KSMART 분석 등) 8~9월

      (혁신행정법무담당관실)

      ∘ 성과지표의 적절성, 도전성 등 평가

        * 자체평가위원 및 전문가 합동 TF

      자체평가위원회 현장 점검 8~9월

      (혁신행정법무담당관실)

      ∘ 주요정책 현장 점검 및 자문
      성과관리 역량강화 워크숍 9~10월

      (혁신행정법무담당관실)

      ∘ 성과관리 제도 및 성과지표 개발 교육
      당해 연도 추진실적 보고서 작성 11월

      (과제추진부서)

      ∘ 관리과제별 추진실적 보고서
      하반기 자체평가 12월

      (혁신행정법무담당관실)

      ∘ 정책효과성, 성과지표 목표달성도에 대한 평가

        * 자체평가위원회 온라인평가

      ∘ 미흡, 부진과제 조치계획 점검

      평가결과 공개 및 이의신청 12월

      (혁신행정법무담당관실)

      ∘ 목표달성도 항목에 대한 이의신청

        * 관리과제 추진부서

      평가결과의 상대등급화

      • 개인성과 등에 활용될 수 있도록 7단계 상대등급화
      평가결과의 상대등급화 표

      평가결과의 상대등급화를 나타내는 표로 순위 누적%, 등급(등급명), 총20개 정책으로 구분하여 설명

      순위 누적 % 등급(등급명) 총 20개 정책
      ~ 상위 5%이내 1등급(매우 우수) 1위
      5%초과~20%이내 2등급(우수) 2, 3, 4위
      20%초과~40%이내 3등급(다소 우수) 5, 6, 7, 8위
      40%초과~70%이내 4등급(보통) 9, 10, 11, 12, 13, 14위
      70%초과~85%이내 5등급(다소 미흡) 15, 16, 17위
      85%초과~95%이내 6등급(미흡) 18, 19위
      95%초과~ 7등급(부진) 20위

      평가결과의 환류

      • 기관 차원에서의 정책 개선, 예산 편성, 조직 관리에 활용하고, 개인차원에서의 인사, 성과급 지급에 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