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농촌진흥청

      2025년 주요업무계획

      2025년 농촌진흥청 주요업무 추진계획 농촌진흥청
민관협업에 기반한 첨단과학기술 융복합으로 농업ㆍ농촌 현안 해결과 미래 신성장 동력 창출

1 혁신기술로 핵심 농업정책 추진 지원

육종시스템 전 과정의 전면 디지털화, 빅데이터 기반의 스마트농업 확산
 품종개발 전 과정에 선진 생명공학 기법 적용
밀 품종개발 기간 단축 13년 7년
 한국 디지털 육종 플랫폼 구축 (2025년), 민간 개방ㆍ공유(2027년)
플랫폼 벼중심 2024년 59개 품목 2025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의 생육조건을 제시하는 '영농의사결정지원모델' 확대
의사결정지원모델 12품목 2024년 16품목 2025년

기후변화 대응 및 농업분야 탄소감축을 위한 기술 개발ㆍ보급
 작물 재배지 변동 예측, 기후적응형 품종 육성 
ㆍ재배지 변동 고랭지 무, 양파, 배추 ㆍ품종 육성 매년 18종 내외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 전국 확대
110시군 2024년 전국(155시군) 2025년
 저메탄 벼 '밀양360호' 품종출원 및 보급
2025년 세계 최초 품종출원 2026년 본격 보급 밀양 360호

식량 자급률 제고를 위한 가루쌀 산업화, 국산 신품종 확산
 수발아에 강한 가루쌀 바로미3(전주695호) 신품종 출원
바로미2 vs 바로미3(전주695호) 수발아율 1/3 수준
 밀ㆍ콩 자급률 향상을 위해 전문생산단지 조성
ㆍ밀 산업 밸리화 시범단지 5개소(누계)
ㆍ콩 자립형 융복합단지 6개소(누계)
 국산 신품종 조기 정착 지원
ㆍ지역특화 벼품종 정읍 '전주684호', 여주 '수원674호'등 개발
ㆍ국산 조사료 신품종 보급 확대(이탈리안라이그라스, 알파파)

2 농업ㆍ농촌 현안문제의 조속한 해결 노력

주요 8대 작물 생산 전 과정에 대한 밭농업기계화 촉진
 8대 작물 중심 파종ㆍ정식ㆍ수확기계 중점 개발
2025년 양파ㆍ배추 정식기 등 7종 2027년 무ㆍ고구마 수확기 등 4종
 영농규모별 현장시연ㆍ전시방식 개선
기존 대규모, 고성능 기계 중심 개선 중소규모, 소형ㆍ보행형ㆍ반자동 확대
 경제성 높은 기계 개발 + 임대사업(확산) + 관행개선(현장) ※농식품부 협업

여름철 배추 수급안정을 위한 종합기술 개발ㆍ보급
 저장기간을 2배 이상 늘릴 수 있는 환경제어 기술(CA, MA) 실증
저장기간 늦봄배추 40일 80~90일 여름배추 10일 미만 30~60일
 고랭지 배추 병해충 예방을 위한 토양병해충 방제 프로젝트 추진
 준고랭지 대상 여름배추 재배면적 확대 시범사업(6개소, 18ha)

민관협력 기반 병해충 대응체계 강화
 과수화상병 고위험ㆍ주산시군 맞춤형 대응
ㆍ전염원 조기 제거, 全생육기 예찰
ㆍ위기단계의 시군단위 발령
매몰기간 단축 10일 7일 이내
 벼멸구 사전 조사ㆍ예측 강화
ㆍ시군별 비래예측모형 시범운영
ㆍ방제방식 개선
출수 전(7~8월초) 항공방제 출수 후(8월 중순~) 광역방제기
조사주기 단축 월 2회 월 3회

3 첨단ㆍ융복합 연구로 농업의 미래성장 견인

위성ㆍ인공지능ㆍ로봇 기술을 농업에 적용
 대한민국 최초 농업위성 활용 정밀 관측시스템 구축
ㆍ농산물 수급, 재난ㆍ재해예방 상시 예ㆍ관측
 AI를 활용한 꿀벌 피해 대응
ㆍ꿀벌응애 검출장치, 인공 월동시스템 개발
 농업로봇 활용 노동력 절감 및 안전 지원
ㆍ운반ㆍ방제 로봇 보급 확대, 근력보조ㆍ위험감지 착용형 로봇 개발

첨단 바이오산업 육성 지원, 국산 농산물의 식의약 소재화
 기능성이 높은 미생물 소재의 농업분야 활용 확대
ㆍ질소비료 대체 미생물 비료
ㆍ기능성 가축 사료ㆍ생균제
ㆍ완전 분해 바이오플라스틱
 국가농식품기능성분DB 확대 구축, 민간 개방
기능성 성분 DB 확대 3계열 2024년 10계열 2025년

푸드테크 활용 미래식품 기술 지원, 농식품 부산물 업사이클링
 건강상태, 식습관, 선호도 등 개인특화형 식품(MEfood) 연구
현재 영양성분 기준
개선 영양ㆍ기능성 조리법 맛 복합적 개인특화
 국가표준식품성분DB 확대(29만건), 민간 공개
 농식품 부산물을 활용한 기능성ㆍ산업용 소재 개발
버섯 건축자재 감귤 멀칭ㆍ포장재 도토리박 체지방 감소

4 농업·농촌 활력 제고 및 국제기술협력 강화

치유농업서비스 확대 및 청년농 등 미래인재 육성
우수 치유농업시설 인증제 본격 시행, 광역 치유농업센터 13개소로 확대
국민 누구나 이용하는 치유농업서비스로 확장
농촌환경, 동물, 원예·식량자원 융복합 프로그램 개발
2024년 1종 2025년 7종 
늘봄학교 연계 확대 2024년 학급 53개 2025년 315개 학급
사회서비스 확대 2024년 치매, 장애인 위주 10종 아동, 청소년 연계 15종
청년농 영농정착 지원 및 '농업기초기반 미래인재 양성' 신규 추진
청년농 상품개발·판로확보 지원, 진로서비스 제공
인재양성 토양, 병해충, 식물영양 분야 등

농업인 안전재해 예방 기술 개발·보급
농기계 사고원인 분석 및 예방기술 개발·보급 농기계 기종별 사고사례조사 및 농기계 사고예방 협의체 운영 농직업 안전사고 관련 국가통계 생산 '농작업안전관리자' 배치·운영(신규) 40명, 20개 시·군

국제기술협력 및 농식품 수출 지원
K-농업기술을 통해 개도국 식량생산과 소득증대 기대 '라이스피아사업'을 통해 아프리카(7개국) 대상 벼 우량종자 생산체계 구축
국제협력 네트워크 확대 한-카리브 농업연구혁신플랫폼 출범(4월) KOPIA 네팔센터 신규 개소(5월)
농식품 전·후방산업 수출확대 지원 중남미 농기자재 패키지 수출(감자) 중앙아시아 수출 실증단지 신규 조성(낙농) 중동 수직농장 생산기술(딸기) 품목별 선도유지기술 확산 '신선농산물을 더 오래, 더 멀리 수출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