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 5.8천ha → 2018 - 18.4천ha
2015 - 29.1% → 2018 - 44.7%
‘작물체 생체정보’ 기반 진단기술로 고도화
특허출원 1, 기술이전 2, 계약금액 1,188만원, 신기술보급사업 2.7억원(2021) 등
27~34% 감소 ↓하락
무게 14~26% 당도 8% ↑상승, 농업용수 25~31% ↓하락
주요회사 : 미국(John Deere), 일본(Kubota), 이탈리아(ASI), 독일(AGCO)
작업환경 딥러닝 분석 → 자율주행 로터리 작업 속도 3km/h 시 경로오차 ±9.5cm(운전자 경우 ±21.2cm)
기존 - 연속 방제, 유인운전 → 개선 - 선택적 방제, 무인 자율주행
2016 - 2,317억원 2017 - 3,625억원 2018 - 7,997억원 2019 - 11,408억원
기상청 동네예보(읍면 규모, 5×5㎞) → 농진청 농장예보(30×30m) 농장기상(기온, 강수량 등 11종), 농장재해(가뭄, 저온해 등 15종)
서비스 지역 : 29개 시·군(전북 14, 전남 12, 경남 2, 경북 1) → 2027년까지 전국 155개로 확대
서비스 방법 인터넷(https://agmet.kr), 모바일(문자, 앱, 웹)
국내 생물산업 핵심소재 발굴 필요
우수자원 추천(540자원), 자원관리 DB구축(71만건)
2018 - 32% 2019 - 36.8% 2020 - 41% 우수 활용성과 : 신품종 출원(항산화물질 고함유 자두 ‘퍼플퀸’, 크리스마스 선인장 ‘오렌지영’ 등)
연구활동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자동으로 서버에 수집·저장
연구자 : 연구결과의 이력화, 연구노트 대체 등을 통한 편의성 제고
공무직 : 세부 실험설계, 일정 공유를 통한 업무효율 증진 및 전문역량 강화
관리자 : 대시보드를 활용한 연구활동 모니터링 및 작업흐름 분석을 통한 업무개선
콩 378(대조구 297) 28% ↑상승
참깨 109(대조구 88) 24% ↑상승
유인력 향상 기존 2종 → 6, 포획력 15마리/트랩 → 47, 신속 진단 20초 → 3초
스마트 온실 내 온·습도 분포, 진단 분석 및 방제 기술정보 제공
2016 - 89,732마리 2018 - 121,077마리 유기·유실을 줄이고 입양확률을 높일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
유기·유실·입양 관리, 동물병원 검색, 반려동물수첩, 펫티켓 교육
2010 - 29.6% 2015 - 30.8% 2019 - 43.6%
2019 - 2,390호 2022 - 5,750호
농가 수익개선 약 96억원/년 ↑상승
업체 손실방지 약 136억/년 ↓하락
배추 기계화율은 54.5%
1줄 : 두둑폭 40~50cm, 조간 70∼90, 주간 35~45
2줄 : 두둑폭 90cm, 조간 40, 주간 35~40
정식기(1조, 2조)
수확기(이송+톤백 수집+배출)
노력 절감 55.7% ↓하락
비용 절감 42.0% ↓하락
2015 - 43농가/42.9ha 2020 - 744농가/394.4ha
진단 소요 기간 : 3~7일 → 개선 : 1~2일
1.5시간 - 기존 : 약 10⁶마리/㎟ [→ 검출한계] 개선 : 약 10²마리/㎟
수수 생산 급증시 가격폭락, 소비촉진으로 고량주 활용 검토
β-glucosidase 활성, cerulenin 저항성, 알코올 내성 등 우수표준
유기농업 확대의 걸림돌 : 현장애로로 병해충 관리기술 부족 65%(KREI, 2018) ↓하락
2017 - 21개소 2018 - 39개소 2019 - 69개소
2018 - 79건(310L) 2019 - 71건(284L) 2020 - 97건(454L)
2018 - 1.5% 2019 - 1.2% 2020 - 1.2% 토양 중 고잔류성 농약(플루퀸코나졸 등)에 의한 후작물 전이로 부적합 농산물 발생
19일 - 액체배지 DDT를 19일에 65∼68% 분해
7주 후 - 포트 토양에 처리 7주 후 83% 분해
현장 수요 농약 3년(2019∼21)간 잠정 등록 허용 및 정식전환 필요
약효·약해 2,562건 + 작물잔류 1,844건 → 4,406건 평가(적합률 90.0%)
농약 등록 현황(누적) : 2019 - 26,368개 2020. 11 - 29,344개(+2,976) 달성률 105% ↑상승
완료 - 1,794개(32%) 추진 중 - 1,641개(29%) 예정 - 2,162개(39%)
세계 벼 생산량 : 2018 - 78.2천만톤 2050 - 98천만톤
2013 - 176천원/80kg 2015 - 159천원 2017 - 128천원 2018 - 177천원
2016 - 10월 10일 2017 - 9월 15일 2018 - 9월 1일 2020 - 8월 1일
3ha 농가기준 최대 420만원 순익 보전 가능(2010~2018년 순익 차이최대 14만원/10a)
과잉생산 발생시 조기 격리로 양곡 관리비 연간 1,800억 이상 절감 가능
최초보고(2013) → 충북 대발생 13.7ha(2019)
2018 - 1.1% 2024 - 5% 2030 - 60%
2019 - 5과종 98품종 2020 - 5과종 105품종
2019 - 5과종 79품종 2020 - 5과종 87품종
상품과율 21% ↑상승 수량 19%
무병묘 6.7% vs 일반묘 99%
2018 - 폭염 3,688ha 2019 - 태풍 320ha 2020 - 폭우 698ha 농약살포, 차광망 개폐, 제초 작업 등에 연 205시간/10a/인 투여
최고 기온이 기존 해가림보다 1∼3℃, 기존 하우스보다 3∼5℃ 낮음 원예·특작 내재해시방서 등록(2020) : 기본풍속 35m/s, 적설하중 35cm
기존 해가림 대비 고온피해 70% ↓하락 근중 28% ↑상승 수량2.3배 ↑상승
관심 시·군 수요 - 41농가, 26ha
예산반영 - 2022, 50% 지원
장기 기증자 부족으로 수요자의 약 90% 이상 이식 대기
영장류에 이식한 돼지 심장에서 발생하는 변화 구명 필요
병리분석 - 심장 기능 정지의 주요 원인인 심근경색과 심장섬유증 발견
유전체분석 - 심장근육 수축 등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유전자발현에 이상 발견
분자생물학분석 - 심장 기능이상 표지유전자 발현 증가
심장 이종이식 생존 기간 연장을 위한 새로운 방법 개발 자료로 활용한우 출하체중 : 2002 - 562㎏ 2018 - 690㎏
돼지 출하체중: 2002 - 107㎏ 2018 - 116㎏
축산원 홈페이지를 통한 민간 서비스 제공(2021)
거세우 마리당 사료비 : 2006 - 1,312천원 2011 - 2,725천원 2017 - 3,110천원
도체중 - 478kg 근내지방도 - 4.7점 육질등급 1이상 출현율 - 100%
도체중 - 464kg 근내지방도 - 4.6점 육질등급 1이상 출현율 - 100%
단백질 수준 15% → 12.5% 적용 시 사료비 약 5.7% 절감 ↓하락
단백질 수준에 따른 질소배출량 차이 : 9.94% (추정)
한우 35두 젖소 5
부계 7 모계 13
한우 - 육량(도체중, 등심단면적) 및 육질(근내지방도) 개량효과 : 2,042억
젖소 - 유우군능력검정 참여에 따른 유량증가 효과 : 2,900억
돼지 - 성장(90kg 도달일령) 및 번식(생존산자수) 개량효과 : 274억
소규모 사육으로 유전형질 다양성이 낮고 악성질병으로 인한 멸실에 노출 사례 : 가금질병으로 인한 기장오골계(천연기념물 135호) 멸실 및 지정해제(1980)
5축종 7품종 제주흑우 제주흑돼지 제주마 연산오계 진돗개 삽살개 동경이
생축자원 - 천연기념물 제주흑돼지 생축 가축센터 분산보존 7두(♂수컷2, ♀암컷5)
동결자원 - 축종·품종별 동결정액 생산 및 보존 5축종 7품종 242두
분산보존 - 가축유전자원센터 : 7품종 196두 1,451점, 제주축산진흥원 : 7품종 86두 989점
2019 - 112두 1,162점 2020 - 242두 2,440점
배추 17% ↑상승 꽃양배추 108% ↑상승 케일 170% ↑상승
종묘회사 육종품종 vs ↑상승 항암성분 ITCs 함량 5~6배
토종벌 낭충봉아부패병 발병 2년 만에 봉군수 75%, 농가수 79% 감소(2009) ↓하락
2종(한라벌, 백두벌)
기존 15년 → 7년
2019 - 3,992봉군 2020 - 5,131봉군
신동진(1999) 국내 재배1위(135천ha)
호남지역 흰잎마름병 피해 8천ha(2020)
벼흰잎마름병 발생 시 ‘신동진’ 대비 수량 30% ↑상승 정상립 13% ↑상승
현미 천립중 : 참동진27.3g = 신동진27.3g > 남평20.4g
밥맛 : 참동진 ≥ 신동진
신동진 대체 품종 개발·보급으로 248억원/년 경제적 파급효과 ↑상승
재배안전성이 취약하지만 경기미 차별화를 위해 RPC에서 선호
외래품종 [단점]
해들, 알찬미 [장점]
한국농업기술진흥원 0.9, 농협RPC 3.6
남부 RPC
해들 : 농민 1,693천원/ha(15%), RPC 3,809(22)
알찬미 : 농민 3,272천원/ha(38%), RPC 5,913(44)
농가 평균수량성(2018, FAO) 미국 4.5톤/ha 중국 4.5톤/ha 멕시코 3.5톤/ha 한국 1.7톤/ha
‘더하메’ : 메성, 수량성 ↑상승, 간장 1m 내외 484kg/10a ↑상승 소담찰 대비 58%
대규모 생산단지 조성 주산단지 : 영월, 제천 경관 조성 : 서산, 제주
제과·제빵 레시피 6종 개발 전국 제과기능장 빵집 900개소 배포
음식·음료 레시피 7종 개발 Youtube, 네이버 공유 예정
국민 선호 품목 대상 가공 시제품 개발 고량주, 막걸리, 씨리얼바, 경단
수량성 증가(2020, 서산) 323kg/10a → 599 85% ↑상승
노동력 절감 42.8시간 → 8.5 80% ↓하락
농가 만족도 92% ↑상승
2012 - 4조 3,000억원 2016 - 6조 4,000억원
2014 - 46.4백만달러 2016 - 58.2백만달러 2018 - 78.8백만달러
2019~2020 - 1㏊ 2020~2021 - 4(16톤)
황금알 2019년 육성, 단백질 14.0%, 글루텐 10.3
중모2008(1) : 백강(5) : 황금알(4)
or중모2008(1) : 백강(4) : 황금알(5)
선풍 340kg/10a(대원콩 대비 21% ↑상승) 기계화
대찬 330kg/10a(16% ↑상승) 고품질
아람 359kg/10a(풍산나물콩 대비 12% ↑상승) 고품질 기계화
청자5호 343kg/10a(청자3호 대비 30% ↑상승)
내병·내재해성
대원콩(장류) → 선풍·대찬 23%(2020)
풍산나물콩(나물용) → 아람 30%(2022p) 예정
검정콩 청자4호 → 청자5호 90%(2020,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새싹보리용 재배 면적 : 2014 - 5ha 2020 - 520ha
유효성분 - 사포나린 폴리코사놀
수량 557kg/10a(21%) ↑상승 폴리페놀 178 mg/100g(8.5%) ↑상승
새싹 수량성 157g/m²(21%) ↑상승 폴리코사놀 709mg/m²(28%) ↑상승
종자 생산(한국농업기술진흥원) → 지역특화 단지화 → 고품질 새싹제품
2011 - 14.7% 2015 - 12.4% 2018 - 15.3%
표준품종 건백 - 3.9배 ↑상승 vs [ 밀양74호 ] vs ↑상승 1.5배 - 고리그난 YCS71
종자 내 리그난 함량 비교(mg/g)
세사민 | 세사몰린 | |
---|---|---|
밀양74호 | 3.5 | 3.5 |
YCS71(부본) | 8.4 | 3.3 |
경북22호(모본) | 6.8 | 2.2 |
참기름 내 리그난 함량 비교(mg/g)
세사민 | 세사몰린 | |
---|---|---|
밀양74호 | 25.5 | 6.8 |
YCS71(부본) | 13.5 | 5.6 |
건백(표준) | 5.1 | 3.1 |
국내 고구마 산업 중 일본 고구마 품종 점유율 43%(2018)
총 유리당 | 감미도 | 당도 | 식미(-3∼3) | 육질 | |
---|---|---|---|---|---|
소담미 | 36.5g/100g dw | 19.1 | 29.0°Brix | 1.7 | 약점질 |
베니하루까 | 33.9g | 16.6 | 28.5°Brix | 1.3 | 약점질 |
9개월 이상 장기간 저장시에도 부패율, 내부공동화 거의 없어 연중출하 가능
외관상품성(-3∼3) | 모양균일성(-3∼3) | 저장시 부패율·공동화 | |
---|---|---|---|
소담미 | 1.9 | 1.8 | 0% 0% |
베니하루까 | 1.5 | 1.3 | 8% 0% |
2017 - 4,037톤 2018 - 5,837톤
한지 재배 : 단양종 32.6g vs 홍산 35.3g
난지 재배 : 홍산 53.5g vs 남도 43.8g
남도 3.71 ug/g vs 홍산6.29 ug/g vs 대서1.76 ug/g
관행 2,239천원/10a 절감 → 1,568천원/10a
전 세계 생산량의 약 50%(2016)를 차지 약 174억달러 양송이는 국내 버섯 생산량 중 12.3% 점유
국내 생산량·생산액(2019) : 22천톤 1,496억원
외국품종 ‘A15’ 2,316kg/상자 vs 12% ↑상승 ‘새한’ 2,601kg/상자
‘새도’ 90.3 명도 비교 vs 12% ↑상승 ‘새한’ 91.5
2012 - 1,613ha 2017 - 531ha ↓하락
수입흑돼지 활용 비율 87%
정확도 높은 선발기법 적용으로 성장 및 육질 동시 개량 - 유전체 선발, 털색유전자(MC1R) homo화
농가수요 기반 선발 - 성장 66%, 등지방 33%
7개도 23개 농가 581두 보급(~2020)
브랜드화(피밀리 우리흑돈)
능력검정을 통한 우수 후보·번식돈 선발 및 교배
20주령 체중 기준 상위 30% 선발 및 교배 - 20주령 : ♀암컷 85kg, ♂수컷 95kg
102두 보급(2020)
난축맛돈연구회 창립
내한성 IRG 개발로 중부지역 재배면적 확대 성공(2010년 대비 3배)
IRG 및 톨 페스큐는 상대적으로 염해에 강함 → 간척지 적용 유리
염농도 0.4% 신품종 개발 : 6종 ↑상승 생산성 42%
파운 13.3톤/ha vs ↑상승 19% 그린마스터 2호 15.8
초미세먼지 오염도 OECD 회원국내 1위(AirVisual 2019)
↓하락 알레르기 유발 물질 IgE 55%, Histamine 75% 코상태 재채기 60%, 콧물 58% 등
실시기간 및 실시료 5년, 3억원 선납(1회 실시료 농진청 최고액)
비료사용기준이 없는 작물은 기준설정 필요(기준설정 1∼2년 소요)
이행점검 기준마련(논·밭·과수·시설/pH·유기물·유효인산·교환성칼륨)
80작물(유사작물, 지자체 자료), 비료처방가능면적(2019) 91.7% → 94.0 (226작물)
2020 - 268(kg/ha) 2030 - 198(kg/ha) 26.2% ↓하락
과학적인 근거 기반의 농산물의 효능 및 기능 성분 정보 요구
국외 성분 DB로는 다양한 국내 농산물의 성분 추정에 한계
플라보노이드 식품 268점, 성분 476종
페놀산 식품 308점, 성분 171종
고구마 안토시아닌(항당뇨), 콩 이소플라본(생체이용), 고춧잎 플라보노이드(항산화)
식품·기능성 별 소재 선발을 위한 프로그램(농식품올바로 koreanfood.rda.go.kr)
65세 이상 노인 인구비율은 15.4%로 775만 명 치매환자는 80만 명(2019)
치매환자 168만 명 의료비용 78조 4천억원 예상(2040)
홍잠섭취 파킨슨병 시험쥐의 운동능력 4배 증가 확인 도파민 신경세포는 홍잠 섭취에 의해 사멸 억제됨
경도인지장애자 대상 목표 78명(경희의료원)/현재 72명 진행
국민건강 ↑상승 농가소득 ↑상승
논문개재 : Nature Communications(SCI, IF=12.1, 표준화지수=94.1)
특허출원 : 안트라퀴논 생합성 유전자 및 이의 용도(10-2020-0075168)
논문게재 : Horticulture Research(SCI, IF=5.4, 표준화지수=90.3)
논문게재 : Frontiers in Plant Science(SCI, IF=4.2, 표준화지수=91.6)
한국(22,751점), 미국(31,015), 중국(31,206), 일본(8,710)
모집단 유전적 다양성 99% 이상 반영한 핵심집단 816점 최종 선발
알코올성 간 질환 40% ↓하락, 피부염증 40% ↓하락, 피부주름17% ↓하락
대부분 수입에 의존 - 건강기능식품 281억 달러, 화장품 원료 5억7,403달러
시장점유율(예상) - 건강기능식품 12.2%(2031), 의약품 7.1%(2031), 일반식품 9.1%(2028)
치유농업 수요 : 아동·청소년, 노인, 장애인, 질환자 등 3,545만명(2020)
소방공무원 스트레스 19% ↓하락, 노인 인지 기능(MMSE-DS) 19.3% ↑상승
청소년 학교 생활 적응을 위한 치유농업 콘텐츠 활용(정책제안, 교육부·농식품부), 실버대상 치유농업적용 현장 모니터링 및 재배활동 지원도구 개발(4종)
치유농업 시범사업 운영 농장(100여개) 현황조사
국내 : 2015 - 22,294억원 2017 - 27,041억원 2019 - 37,257억원
세계 : 2014 - 1,090억달러 2016 - 1,215억달러 2018 - 1,358억달러
고시형 원료 현황(기존) - 인삼 2종(면역증진, 피로개선), 홍삼 6종
기준 및 규격 뼈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Rg1 과 Rb1의 합계 25mg
동물모델 간 기능검사(ALT, AST) 결과 약 80% 억제 확인
실용화 관련 출원 9건, 기술이전 4개 기업, 흑삼 : 기술료 총 1억 7천만원
기억력 증진 및 인지능 개선 효능
기술이전 1억3천만원(선납) 시제품 판매 1억 4천만원(2020.9.∼11.)
배출량 불확도 : 농업 43.82 > 유기용제 32.17 > 비산먼지 25.70 > 생산공정 3.92
1세 미만 33 1∼2세 83 2세 이상 139
돼지 배출계수 현행화 : 육성돈 - 5.21kg-NH₃/두 비육돈 - 7.22kg-NH₃/두
2015 - 55% 2020 - 67%
혈중 콜레스테롤 : 177.6mg/dL → 159.4mg/dL 9.6% ↓하락
혈중 면역글로블린G(IgG) : 5.46ng/ml → 6.45ng/ml 18.1% ↑상승
시제품 제작 및 산업재산권 출원 : 2건
2016 - 5,800천마리 2018 - 9,020천마리
충남 - 211건 전북 - 209건 경기 - 191건
아스타잔틴 4.5% 비타민C 9.2% 카테킨 2.3%
글루타민 29% 타우린 23.4% 비테인 47.9%
비타민C 250mg/kg → 증체량 9.2% ↑상승 스트레스 12.9% ↓하락
농촌진흥청 MOU 체결 - 세계은행(2020.5.28.), 유엔식량농업기구(2020.9.24.)
세계은행 식용곤충 등 개도국 농업기술 지원
FAO 아시아 토양지도·정보시스템 및 글로벌 농업지식 플랫폼 구축
우리 작물종자, 스마트팜 등 농업기술의 해외진출 기반 마련
KOPIA : Korea Partnership for Innovation of Agriculture
22개국(아시아 8, CIS 2, 아프리카 7, 중남미 5) KOPIA 센터 설치
키르기스스탄(신북방정책 대상국), 파키스탄(중점협력국)
전체 종자 소요량 6.45천톤의 종자 수입액 3,225만달러(5.0달러/kg)
수입 종자 5.0달러/kg → 개발 종자 3.0
에콰도르 KOPIA 센터가 UN 글로벌컴팩트(PGRE)로부터 공로상 수상
KOPIA 사업의 인지도 상승으로 「2020 매경 국가 대표 브랜드 대상」 수상
KOPIA 우즈베키스탄 센터는 축산시범마을 조성 등 협력사업 추진 공로 인정으로 ‘농업의 헌신’ 훈장 수상
한-아시아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 (Asian Food &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AFACI) : 13개 국가
한-아프리카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 (Korea-Africa Food &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KAFACI) : 23개 국가
한-중남미 농식품 기술협력 협의체 (Korea-Latin America Food &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KoLFACI) : 12개 국가
베트남 1.6배 ↑상승 방글라데시 2.4배 ↑상승
세네갈 ‘이스리’ 품종 생산성 2배(7.5톤/ha) 3개국 5품종 등록 완료(2019)
9개국 37계통 통일형 벼 계통의 지역적응시험 진행
12가지 토양특성 정보 제공으로 농경지 관리 및 작물 생산성 향상에 기여
농촌진흥청 MOU 체결 - 세계채소센터 및 태국 등 10개국과 수탁 안전보존
187천자원 기탁 : 2020 - 30, 2021 - 30, 2022 - 30, 2023 - 30, 2024 - 30, 2025 - 37
187천자원 기탁 : 2020 - 10, 2021 - 5, 2022 - 5, 2023 - 5 블랙박스 형태로 보존, 요청시만 개봉 가능
1차 14,324자원(2008)
태국 필리핀 등 10개국 5,489자원 수탁보존 지원
Genesys : GCDT운영 유전자원 DB, 세계 410만 자원정보 보유
한-UAE 고위급 면담 (2018.5.12.) → 후속조치로 UAE 사막환경 벼 재배 실증연구 추진(2019.11.)
기상자료 수집·분석
인공기상동고온·단일 적응 품종 선발
광활 간척지 사막 토양관개 및 파종방법
수량 7.6톤/ha(국내보다 40% 증수) ↑상승
2010 - 2,756천달러 2015 - 3,786천달러 2020 - 4,322천달러
선명한 색상(미국, 유럽 선호형) - 40일 이상 - 수송성 우수
코로나19 사태에도 2020년 수출액 전년 대비 6.4% ↑상승
미국 시장 연평균 8.2% ↑상승(2011∼2020), 2,579천달러 수출(2020)
국내 보급율 100%, 세계시장 점유율 70% 이상 달성
2020 - 4,322천달러 2021 - 5,000천달러
2020 - 18개국 2025 - 25개국
2018 - 4,895톤 / 45천달러 2019 - 5,740톤 / 54천달러
동시복합처리 : CO₂(경도증가) + CLO₂(미생물 저감) → 신선도 3∼4일 연장
동시복합처리기 보급 : 논산 지역 APC 4곳(2019) → 진주 지역 APC 3곳(2020)
기능성 1단 포장재 : 딸기 호흡활성 억제 → 숙도 지연 1∼2일
경도 6.5N → 18.9N ↑상승 물러짐 억제약 30% 단단함 증가
기존 기능성 1단 MA 용기 → 기능성 1단 난좌형 MA 용기